강아지와 고양이

강아지(애견) 항문낭 ,자꾸 엉덩이로 바닥을 끌고 다녀요. 그러면 한번쯤 의심해보세요.

시들지 않는 들꽃 2025. 5. 4. 20:12

강아지가 엉덩이를 자꾸 바닥에 비비면서 썰매 타듯이 하는 행동 참 우습기도 하고 왜 저러지 하는 생각, 한번쯤 애견을 키우는 보호자라면 왜? 하는 생각을 했을 거 같아요. 간혹 미용하고 온 날도 썰매 타는 경우도 있었을 테니까요.

이, 행동은 단순히 장난이 아닌, 강아지의 몸에서 보내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어요. 이런 행동의 주요 원인 중 항문낭에 대해서 다둥이 키우는 보호자로서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옷 입은 포메라니안 남매
포메라니안 순자, 영자 남매에요

항문낭 이란 어떤걸까요?

 

우리에게 보이는 강아지 항문 속에는 작은 주머니가 있다고 해요. 이걸 항문낭이라고 부르는데요. 이 안에 특유의 냄새가 나는 분비물이 들어 있어요. 다른 동물들도 다 있다고 수의사 선생님이 말씀해주셨어요.

우리 다둥이 중에서도, 항문낭이 터져서 병원을 울고불고하면서 다년 온 적이 있었거든요. 피가 정말 많이 나더라고요.

너무 놀라기도 하고, 미용실도 같이 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짜주기는 했지만 위치가 조금 안으로 들어간 아이도 있다라고 하시더라고요. 야생에서는 이 냄새로 서로의 영역을 표시하기도 하고 감정 상태를 전달하기도 한다고 해요.

일반적으로는, 대변을 볼 때 이 분비물이 자연스럽게 조금씩 배출되는데, 소형견이나 노령견, 또는 분비물이 너무 되직한 경우엔 배출이  원활하지 못해서  항문낭이 꽉 차서 염증이 생기고 , 그 염증이 터지면 항문낭 옆으로 구멍이 생기면서 터지더라고요.

 

이런 행동을 보인다면 의심하세요

바닥에 엉덩이를 질질 끌며 썰매를 타요. 
자꾸 꼬리 쪽을 핥거나 물어요
꼬리 주변을 만지면 예민하게 반응을해요
냄새가 심하거나,  엉덩이 근처에진물이 묻어 있어요  

 

* 이런 모습이 보인다면, 항문낭이 꽉 차 있거나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어요. 소홀히 여길 경우 항문낭염, 심하면 농양이 터져서 나올 수가 있어요. 이럴 경우 혈흔이 많이 묻어 나오면서, 자세히 보면 생 살이 찢어지면서 터져 나와 있더라구요.

엉덩이 썰매 타는 강아지
AI 설매타는 모습이에요

어떻게 항문낭 관리를 할까요?

 

보호자가 직접 짜주는 방법도 있지만, 위치가 민감하고 자신이 없으면, 강아지가 아파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다니던 동물병원이나 미용 전문가에게 맡기는 걸 추천드려요. 의외로 항문낭 못 짜서 방문하시는 보호자들 많으세요. 그리고 애견미용 하는 많은 샾에서 목욕이나 미용 시 기본적으로 항문낭 관리 해주세요. 그것만 부탁하셔도 해드리니까 걱정 안 하셔도 돼요.

비물이 끈적하고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경우, 항문낭염이 시작된 걸 수도 있어요. 이때는, 꼭  동물병원의 진료를 받아야 해요.

 

항문낭 관리, 자주 해야 하나요?

 

견종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1개월~2개월에 한 번 정도가 적당해요.  

 

주의 깊게 살펴야 하는 경우

노령견
소형견 (특히 몰티즈, 푸들, 시추, 포메라니안, 치와와, 등)

배변 시 분비물이 잘 배출되지 않는 체질인 경우 

 

집에서 이렇게 예방해주세요.

 

1,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단 권장해요.

*배변 활동이 원활하고 변비 없이 자연스럽게 항문낭의 분비물 배출을 도와줘요.

 

2. 견종에 맞는 운동 (산책) 권장해요.

* 활동량이 적으면 배변 기능도 저하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산책이 도움이 돼요.

 

3. 주기적으로 관찰해 주세요.

접종 때문에 동물병원 방문 시, 꼭 체크해 주세요.

* 미용 시 항문낭 체크 꼭 해주세요.

자고 있는 페키니즈 10 살이에요.
우리집 둘째 노견 페키니즈 11살

 

우리의 반려견이, 어느 날 자꾸 엉덩이를 끌면서 썰매를 탄다면, 그 모습 귀여워서 칭찬이나 웃어넘기지 마시고, 불편함을 표현하는 것일 수 있어요. 우리 아이는 꼬리에 예민해 있었어요.

그저, 귀여운 거로만 생각했는데. 지나고 보니 그 거 또한 표현 이었다는 것을 항문낭이 터지고 나서야 알게 되었어요.
무심코 지나치지 말고 , 어떤 표현을 하면서 보호자한테 말하는지, 확인해 주세요.

보호자의 작은 관심이 아이의 큰 불편을 덜어줄 수 있어요

 

. 정기적인 관리와 체크만으로도 강아지는 훨씬 편안하고 건강하게 지낼 수 있어요. 
강아지의 언어를 귀 기울여 주세요. 지나치고 나면 꼭 후회하는 마음이 새이더라고요.